연평균소득이 7000만원 이상인 고소득 신혼부부일수록 자녀가 없는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 신혼부부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신혼부부의 소득구간별 자녀 수를 조사한 결과, 소득 7000만원 이하 구간에선 모두 자녀가 있다고 답한 비율이 더 높았다. 하지만 7000만원 이상 구간에서 소득이 1억원이 넘어도 자녀가 없는 비율이 더 높았다.
해당 통계에서 신혼부부는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를 하고, 국내에 거주하면서 혼인 관계를 유지 중인 부부를 뜻한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5000~7000만원의 경우, 자녀가 있다고 답한 비율은 54.8%, 없다는 응답은 45.2%였다. 반면 소득 7000만원~1억원 구간에서는 무자녀 비율이 크게 올라 53.8%를 기록했고, 유자녀 응답은 46.2%로 떨어졌다. 소득이 1억원 이상인 경우에도 자녀가 없는 비율(51.6%)이 유자녀 비율(48.4%)보다 높았다.
소득이…………
https://www.inews24.com/view/1664550
신혼부부, 연 7000만원 벌어도 무자녀…"사회 경쟁에 불안감 느껴"
연평균소득이 7000만원 이상인 고소득 신혼부부일수록 자녀가 없는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 신혼부부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신혼부부의 소득구간별 자
www.inews24.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