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보의2

의사 커뮤니티서 또…군의관·공보의에 "일할 이유 없다, 도망다녀라" 의대 정원 증대 등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공보의)가 의료 현장에 투입된 가운데 이들에게 '업무를 태만히 하라'는 취지 글이 의사 커뮤니티에 올라와 논란이 되고 있다. 14일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병원의 정상적인 업무를 방해하는 행위에 대해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다. 확인을 통해 수사 의뢰 등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군의관과 공보의에게 태업을 권유하는 글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의료계 등에 따르면 지난 12일 의사 커뮤니티 '메디 스태프'에는 '군의관, 공보의 지침 다시 올린다'라는 제목 글이 게재됐다. 글 작성자 A씨는 "병원에서 나에게 일을 .. 2024. 3. 14.
오늘부터 '군의관·공보의' 진료 시작…일각선 지역의료 공백 우려 다음주 중 200명 규모 공보의·군의관 추가 투입 전망 전공의 집단 이탈 사태 수습을 위해 상급종합병원에 파견된 공중보건의(공보의)와 군의관들이 본격적으로 진료를 시작한다. 13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상급종합병원 20곳(서울 5대 병원 및 지역 거점 국립대병원)에 파견된 군의관 20명과 공보의 138명(일반의 92명)이 진료에 들어간다. 이들은 지난 11일 각 병원에 파견됐지만 전날까지 병원 근무에 필요한 전산 시스템 등 교육을 받았다. 정부는 공보의와 군의관이 현장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이들 중 57%를 자신들이 수련받은 병원에 배치했다. 정통령 중앙비상진료대책상황실장은 "병원마다, 진료과목마다 전공의들의 이탈 정도가 다른 점을 고려해 필요와 그 병원에서 수련한 경험에 따라 전공의들을 배치했다.. 2024.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