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아과2

이국종 "의대생 200만명 늘린다 해서 소아과 하겠냐" 이국종 대전국군병원장이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 병원장은 지난 19일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지역 교사들을 대상으로 열린 '명강연 콘서트'에서 의대 정원 확대가 필수의료 의사 확보에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 병원장은 "'필수의료과가 망한다'는 말은 내가 의대생이던 30~40년 전부터 나왔다. 정부 정책의 실패다"고 강조하면서 "지금 의사가 부족하다고 하는데 내가 전문의를 취득한 1999년에는 의사가 너무 많아 해외로 수출해야 한다고 했고, 얼마 전까지는 미용으로 의료 관광을 육성한다고 하더니 이젠 필수의료를 살려야 한다고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30년 전과 비교해 소아과 전문의는 3배 늘었고 신생아는 4분의 1 수준으로 줄었지만 정작 부모들.. 2024. 6. 20.
소아과 '오픈런'은 '브런치타임' 즐기려는 젊은 엄마들 때문? 소아청소년과의 부족으로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2~3시간씩 대기를 해야 하는 상황이 잦은 가운데, 우봉식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원장이 "젊은 엄마들이 브런치타임을 즐기기 위해 소아과 '오픈런'이 벌어진다"는 주장을 해 비판을 사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우 원장은 지난 4일 발간된 의협의 계간 '의료정책포럼'에 '필수의료 위기와 의대 정원'이라는 시론을 올렸다. 그는 "소아과 오픈런은 저출산으로 소아 인구가 줄면서 의원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 것이 근본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젊은 엄마들이 조금이라도 진료가 마음에 안 들면 맘카페 등에 악의적 소문을 퍼뜨리면서 문을 닫는 경우도 많아졌고, 직장인 엄마들이 늘면서 아침 시간에 환자가 집중되는 것도 또 하나의 원인"이라고 밝혔다. 우 원장은 "더.. 2023.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