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딩크족2 젊은 맞벌이 부부 10명 중 4명 '딩크족' 주거 불안 등이 영향…집값 비싼 서울, 딩크 비율 가장 높아 우리나라 25~39세 맞벌이 부부 10쌍 중 4쌍은 자녀가 없는 '딩크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싼 집값 영향으로 다른 지역 대비 서울에서 무자녀 부부 비중이 높았다. 12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지난 10년간 무자녀 부부의 특성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으로 가구주(가족 생계를 책임지는 이)가 25~39세인 젊은층 기혼 가구 중 27.1%는 자녀가 없었다. 2013년(22.2%)과 비교하면 무자녀 비중은 9년 사이 4.9%포인트 늘었다. 부부가 맞벌이일 경우 무자녀 비율은 더 높아졌다. 25~39세 맞벌이 부부의 무자녀 비중은 2013년 21.0%에서 2022년 36.3%로 15.3%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외벌이의 경우.. 2024. 5. 13. "8년차 딩크, 애 없으니 행복해" 고백에 '찬반'…"그래도 나이 들면" 정부의 출산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초저출산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딩크족(아이가 없는 맞벌이 부부)의 삶이 좋다는 고백에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결혼을 했음에도 아이를 가지지 않는 부부의 숫자는 최근 늘어나고 있다. 7일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부인은 사내 변호사고 본인은 개업한 변호사라는 글쓴이 A씨가 "올해 만으로 40대에 진입했고 딩크 8년차인데 썰을 풀어본다"는 글을 올렸다. A씨는 '딩크족은 싸워서 이혼한다'는 말은 '헛소리'라며 "육아가 없으니 충돌할 일 줄어들고 평일에는 둘 다 일하느라 정신없는 데 현금 들어갈 곳이 적으니 주말에 외식도 많이 한다"고 전했다. 또 "집안일 같은 사소한 것으로 싸울 일이 없고 해외여행같이 부부가 추억 만들 일도 많아 사이가 좋다"고 강조했다... 2024. 3.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