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무자녀2

젊은 맞벌이 부부 10명 중 4명 '딩크족' 주거 불안 등이 영향…집값 비싼 서울, 딩크 비율 가장 높아 우리나라 25~39세 맞벌이 부부 10쌍 중 4쌍은 자녀가 없는 '딩크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싼 집값 영향으로 다른 지역 대비 서울에서 무자녀 부부 비중이 높았다.   12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지난 10년간 무자녀 부부의 특성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으로 가구주(가족 생계를 책임지는 이)가 25~39세인 젊은층 기혼 가구 중 27.1%는 자녀가 없었다. 2013년(22.2%)과 비교하면 무자녀 비중은 9년 사이 4.9%포인트 늘었다. 부부가 맞벌이일 경우 무자녀 비율은 더 높아졌다. 25~39세 맞벌이 부부의 무자녀 비중은 2013년 21.0%에서 2022년 36.3%로 15.3%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외벌이의 경우.. 2024. 5. 13.
신혼부부, 연 7000만원 벌어도 무자녀…"사회 경쟁에 불안감 느껴" 연평균소득이 7000만원 이상인 고소득 신혼부부일수록 자녀가 없는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 신혼부부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신혼부부의 소득구간별 자녀 수를 조사한 결과, 소득 7000만원 이하 구간에선 모두 자녀가 있다고 답한 비율이 더 높았다. 하지만 7000만원 이상 구간에서 소득이 1억원이 넘어도 자녀가 없는 비율이 더 높았다. 해당 통계에서 신혼부부는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를 하고, 국내에 거주하면서 혼인 관계를 유지 중인 부부를 뜻한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5000~7000만원의 경우, 자녀가 있다고 답한 비율은 54.8%, 없다는 응답은 45.2%였다. 반면 소득 7000만원~1억원 구간에서는 무자녀 비율이 크게 올라 53.8%를 기록했고, 유자녀.. 2023. 1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