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6

정부, 의료 인력 추가 파견…"의대 증원 백지화는 국민 눈높이 맞지 않아" "현장 의료진 위해 다양한 정책 총동원"심장질환 중재술 보상 강화…응급시술·일반수술 1.5배 수가혈관 스텐트 삽입술 수가는 2배 의과대학 증원 방침으로 의료 공백이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의료 인력을 추가 파견할 계획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필수 의료에 종사하는 의료진들이 공정한 보상을 받고, 자부심을 느끼며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반드시 만들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29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정부는 중증·응급환자 치료를 최우선으로 해 비상 진료체계를 강화하고 있다"며 "현장 의료진들이 지치지 않도록 다양한 정책 수단을 총동원 중"이라고 강조했다.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집단 사직서를 제출한.. 2024. 4. 29.
사직 전공의 1300여명, 박민수 복지부 차관 고소…의·정 갈등 여전히 사직 전공의 1300여명, 박민수 복지부 차관 고소 의협 "의대 증원 원점 재논의해야" 정부, '의사 집단행동 중대본' 브리핑 돌연 취소 의대 정원 증원 등 문제로 전공의 집단 이탈이 9주 차에 접어둔 가운데,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은 여전히 답보상태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사직 전공의 1325명은 이날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을 직권 남용 및 권리 행사 방해 혐의로 고소한다. 이들은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 강행으로 각종 정책의 피해를 봤다"는 주장을 펼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협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역시 전날 "의협을 중심으로 모든 의사가 뭉쳐서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비대위는 전공의와 학생들의 입장을 끝까지 관철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정부를 향해 의대 증원 원점 재논의를 요구.. 2024. 4. 15.
의사 커뮤니티서 또…군의관·공보의에 "일할 이유 없다, 도망다녀라" 의대 정원 증대 등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공보의)가 의료 현장에 투입된 가운데 이들에게 '업무를 태만히 하라'는 취지 글이 의사 커뮤니티에 올라와 논란이 되고 있다. 14일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병원의 정상적인 업무를 방해하는 행위에 대해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다. 확인을 통해 수사 의뢰 등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군의관과 공보의에게 태업을 권유하는 글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의료계 등에 따르면 지난 12일 의사 커뮤니티 '메디 스태프'에는 '군의관, 공보의 지침 다시 올린다'라는 제목 글이 게재됐다. 글 작성자 A씨는 "병원에서 나에게 일을 .. 2024. 3. 14.
환자 떠난 전공의 "3월 말부터 의사면허 정지된다" 정부가 의과대학 증원에 반대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에 대한 면허정지 처분 절차를 시작한 가운데 3월 말부터 면허정지 첫 사례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6일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전날부터 미복귀 전공의들에 대한 면허정지 행정처분 사전통지서가 발송됐다. 정부는 사전통지 이후에는 전공의들에게 3개월 면허정지 처분에 대한 의견을 소명하라는 통지서를 우편발송한다. 행정절차법에 따르면 신분·자격 변동에 의견제출 기한은 최소 10일을 부여하도록 돼있다. 이에 따라 빠르면 이달 중으로 면허가 정지되는 첫 사례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29일 복귀시한까지 병원에 돌아오지 않은 전공의에 대한 현장점검을 시작한 지난 4일 50개 수련병원 소속 전공의 7034명이 출근하지 않은 것이 확.. 2024. 3. 7.
정부의 최후통첩 "집단행동 전공의들, 29일까지 복귀 시 책임 안 물어" 의대 정원 증대를 두고 정부와 전공의 등 의료계 일부가 대치를 이어가는 가운데 정부가 최후통첩을 전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26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집단 행동에 나선 의사들이 29일까지 떠났던 병원으로 돌아오면 지나간 책임은 묻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 상황의 엄중함을 직시하고 마지막으로 호소한다. 의사 여러분의 목소리는 환자 곁에 있을 때 더욱 크고 효과적으로 전달된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길 당부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지금 여러분이 떠난 병원은 그야말로 불안과 걱정이 가득하다"며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의료현장의 혼란이 가중되면서 환자분들의 생명과 건강에 대한 위협이 현실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4대 필수의료 패키지는 여러분들에게 더 나.. 2024. 2. 26.
정부, 보건의료 위기경보 최상위 단계 '심각' 발령…오늘 중대본 1차 회의 의대 정원 증대에 반발해 전공의들이 집단으로 근무지 이탈하는 가운데 정부가 보건의료 위기 단계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상향 발령했다. 보건복지부는 23일 오전 8시를 기해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를 단계를 기존 '경계'에서 '심각'으로 상향했다. 보건의료 재난 위기경보는 관심→주의→경계→심각, 총 4단계로 구분된다. 위기경보 단계가 최상위로 상향됨에 따라 기존 복지부 중심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로 격상된다. 중대본은 이날 오전 8시 30분부터 정부서울청사에서 한 총리와 관계부처 장관들이 참여해 1차 중대본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 19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https://www.inews24.com/view/169.. 2024. 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