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대증원4 암환자들의 '절규'…"휴진은 죽음 선고하는 것" 의대 증원에 반대해 의대 교수들이 주 1회 진료 중단을 결정하자, 암환자들이 "죽음을 선고하는 것"이라며 진료 중단을 철회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는는 24일 성명을 통해 "현재 2달 넘게 전공의 집단 사직과 의대 교수사직으로 인한 의료 공백으로 이미 암환자와 그 가족들은 탈진 상태로 무력감에 지쳐있다"고 전했다. 협의회는 "수술, 항암, 방사선 치료 지연과 취소 그리고 외래 진료마저 지연과 연기 등의 여건 속에 환자와 가족은 초인적인 인내심을 가지고 겨우 버티어 왔다"고 강조했다. 이런 상황에서 상급종합병원이 주 1회 수술과 외래 진료를 멈추는 것은 암환자들에게 죽음을 선고하고 투병 의지를 꺽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어 "이미 의료 공백의 장기화로 중환자들의 고통과 희생은 한계에.. 2024. 4. 25. "정부 의대 증원 따르지 말라"…지방 의대생 1만3000명, 각 대학에 소송 제기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 금지 가처분 신청 예고 "대학 총장들, 정부 의대 증원 방침 따를 의무 없다"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방침에 반발한 의대생들이 각 대학 총장을 상대로 민사 소송을 준비 중이다. 정부가 2025학년 의대 증원분을 각 대학에 배정했으나 이를 반영하지 말라는 목적이다. 17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지방 의대생을 대변하는 이병철 변호사는 이 같은 내용을 밝히고 "오는 22일 전국 43개 지방 의대생 1만3000명은 자신이 속한 대학 총장에 대해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 금지 가처분을 신청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르면 43개 지방 의대생은 최근 각 대학 총장에게 정부의 증원 방침에 따를 이유가 없다는 취지의 내용 증명을 전달했다. 이 변호사는 "정부에서 추진 중인 의대 증원 2000명은 .. 2024. 4. 17. 의대 증원이 성폭행?…반말과 막말 비난 쏟아진 의사 집회 전공의들의 집단 근무지 이탈 등 정부의 의대 정원 증대에 반발한 의사들의 집단 행동이 이어지는 가운데 의사들이 수위 높은 발언으로 정부를 무분별하게 비난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지난 22일 오후 7시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제2차 '의대 정원 증원·필수의료 패키지 저지를 위한 궐기대회'를 열었다. 해당 대회에는 경찰 추산 300명, 주최 측 추산 500명의 인원이 모여 "준비 안 된 의대 정원, 의학 교육 훼손된다" "무계획적 의대 증원, 건보 재정 파탄 난다" 등 구호를 외치며 정부의 의대 정원 증대 방침을 비판했다. 특히 좌훈정 서울시의사회 정책이사는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을 향해 "사랑하는 후배와 가족들을 다치게 하겠다는데 내가 박민수에게 존댓말 해야겠나"라며 "야 박민수. 나이 비슷하니까 반말.. 2024. 2. 23. 의대 증원 찬성해 온 병원협회도 증원 규모 우려…"신중히 결정해야" 필수의료 붕괴 방지를 위해 정부가 2025학년도 입시부터 의과대학 정원을 2000명 늘리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이를 찬성해온 병원 단체가 증원 규모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대한병원협회, 대한사립대학병원협회, 국립대학병원협회 등으로 이뤄진 7개 단체는 지난 6일 정부의 의대 입학 정원 확대 방안 관련 공동 입장문을 냈다. 이들 단체는 "병원계는 미래 의료와 인구 감소, 이공계열 및 기초과학 분야의 인재 이탈 등 다양한 사회적 영향과 의료 환경의 변화를 감안해 적정하고 합리적인 수준에서 단계적 의대 증원 확대에 찬성해왔다"면서도 "정부가 오늘 발표한 수준은 의료계 내에서 큰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의학교육의 질이 충분히 담보될 수 있는 수준인지 전문가의 의견을 더욱 경청하여 .. 2024. 2. 7. 이전 1 다음 반응형